최근 국내 산불이 크게 번지면서 산불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.
산불에 대해 찾아보니 국내에서 발생되는산불의 50% 이상이 봄에 나타난다고 하는데 왜 봄에 이렇게 많은 산불이 일어나는지 또 왜 쉽게 산불을 진화할 수 없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.

1.산불 왜 봄에 많이 일어날까
가.건조한 날씨
-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상 봄은 강수량이 적어 산림이 건조해지게 됩니다 이로인해 낙엽, 풀 등이 말라 작은 불씨도 크게 번질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다고 합니다.
나.강한 바람
- 봄에는 강한 바람이 불어 불씨가 빠르게 확산되며 이로인해 산불이 대형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 특히 강원 지역의 '양간지풍'과 같은 국지적인 강풍은 산불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.
다. 야외활동 증가
- 봄이되며 따뜻해진 날씨에 사람들이 캠핑 등 야외활동을 많이 즐기게 되며 활동 후 불씨가 남아 산불 발생의 원인이 된다고 합니다
라. 논밭두렁 쓰레기 소각
- 농번기를 맞아 논밭두렁 쓰레기를 소각하는 과정에서 불씨가 생겨나고 이로인해 산불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고 합니다.

2.봄철 산불진화 왜 힘든가?
가. 산림지형
- 광역적으로 물을 뿌려 불을 끄더라도 사람이 걸어다니며 작은 불씨를 꺼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산림은 험준한 지형이 많아 진화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합니다.
나.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
- 산불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환경적 요인이 진화에도 어려움을 주며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으로 불을 채 끄기도 전에 이미 불이 크게 번져 진화에 어려움을 겪습니다.
이 외에도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여 산불 진화에 어려움을 많이 겪습니다.
진화보다 빠른 방법은 예방입니다!
꺼진불도 다시본다는 마음가짐으로 예방에 힘쓰고 작은 불이라고 빠르게 진화 또는 119신고를 통해 빠른 대처로 큰 불을 막는 모두가 되었음 좋겠습니다!!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팡 자취 꿀템 TOP5 (17) | 2025.02.18 |
---|---|
사마귀, 티눈 간단한 구분법, 치료법 (68) | 2024.11.26 |
구내염 관리법 (50) | 2024.11.24 |
손발 작은 물집 한포진에 대하여 (20) | 2024.11.22 |
레이저제모 원리, 관리방법 (41) | 2024.11.21 |
댓글